HMG 저널이 제작한 기사, 사진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2018년 5월 4일 이후 제작 콘텐츠에 한하며, 워터마크 적용 사진은 제외)
l 9월 출시 예정인 제네시스 G70에 국내 최초로 ‘서버형 음성인식’이 탑재됩니다
자동차에서 음성인식 기능 사용해본 적 있으신가요? 어떠셨나요? 혹시 음성인식을 실행하는 과정까지 너무 복잡하다거나, 프로그램이 말을 잘 인지하지 못해 엉뚱한 결과를 받지 않으셨나요? 만약 그런 이유로 자동차에서 음성인식 사용이 꺼려지신다면 이제는 그런 걱정을 안 해도 될 것 같습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가 단 한마디에 운전자가 원하는 목적지를 찾아주는 ‘원 샷’ 방식의 ‘서버형 음성인식’을 국내에 처음으로 선보이기 때문입니다. 9월 출시 예정인 제네시스 G70에 처음 탑재되는 ‘서버형 음성인식’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l ‘서버형 음성인식’은 간단한 명령어만 말하면 운전자가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고 빠르게 제공합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가 선보이는 ‘서버형 음성인식’은 카카오와의 협업을 통해 개발한 인공지능 플랫폼 ‘카카오 I(아이)’를 활용한 서비스입니다. IT 전문기업인 카카오의 기술력으로 구축된 인공지능 플랫폼 ‘카카오 I’를 활용함으로써 차량 내장형 음성인식 기능의 한계를 넘어 자연어 인식, 방대한 운전자 관심 위치 정보 등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된 서비스가 내 자동차 안으로 들어오게 되는 것입니다.
‘서버형 음성인식’ 기술의 가장 큰 장점은 복잡한 과정을 모두 생략하고 음성인식 버튼을 누르고 간단한 명령어만 말하면 운전자가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고 빠르게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상호명이나 주소만 알고 있다면 길안내를 쉽게 받을 수 있는 거죠. 그뿐만 아니라 다소 추상적인 단어를 써도 목적지를 검색해 안내해 준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양재역 가까운 맛있는 커피숍’이나 ‘주변 맛집’과 같은 명령어를 내리면 ‘카카오 I’가 인식된 음성 정보를 카카오 지도 서버로 전송해 명령에 걸맞은 장소를 추천해주는 식입니다.
이렇게 검색된 결과값은 손가락으로 터치해서 목적지를 결정할 수도 있지만, ‘첫 번째’, ‘두 번째’와 같은 명령어를 통해 목적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서버형 음성인식'의 ‘두뇌’ 역할을 맡고 있는 ‘카카오 I’는 다년간 축적된 방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운전자에게 최적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급하는 것을 돕습니다. 카카오가 ‘카카오 I’를 자사가 아닌 외부 업체에 개방한 것은 이번 현대, 기아차와의 협력이 처음입니다.
‘서버형 음성인식’은 오는 9월 출시 예정인 G70에 최초로 적용한 이후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로 적용 차종을 늘려갈 예정입니다. 해당 서비스는 차량과 클라우드 서버 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차량 텔레매틱스 서비스 적용이 필수적인데,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텔레매틱스 서비스인 블루링크와 유보를 사용하고 있다면 별도의 추가 과정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될 예정입니다.
음성인식은 미래자동차인 커넥티드카, 자율주행자동차의 필수 기술입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는 이를 위해 남양연구소에 ‘차량IT지능화리서치랩’을 설치하고 인공지능, 음성인식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서버형 음성인식’ 역시 ‘차량IT지능화리서치랩’이 개발을 담당해 선보인 서비스입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는 ‘서버형 음성인식’ 개발뿐만 아니라 인공지능을 활용한 딥 러닝 기반의 대화형 음성인식 비서 서비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각종 편의 장치 사용성 향상을 위한 지능형 신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다음에는 또 어떤 기술이 등장해 우리의 안전하고 쾌적한 운전을 도와줄까요? 벌써부터 기대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