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널이 궁금해? 신기한 터널 X파일
국토의 70%가 산지인 우리나라에는 도로 위 터널이 많죠. 그냥 지나치기엔 재미난 이야기가 많은 터널의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2018/07/09 현대자동차그룹
홈페이지바로가기
HMG 저널이 제작한 기사, 사진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2018년 5월 4일 이후 제작 콘텐츠에 한하며, 워터마크 적용 사진은 제외)
산 또는 바다, 강 밑 등을 뚫어 만든 도로 ‘터널’. 터널은 단지 막혀있던 도로와 도로를 잇는 길일 뿐일까요? 도로 위에서 만나는 터널의 기능과 터널 운전 시 유의사항 등 터널에 대한 궁금증을 모두 해결해드립니다.
우리나라는 지형 특성상 터널이 많은 편입니다. 운전을 하다 보면 고속도로와 도심 곳곳에서 종종 터널 구간을 만나게 되죠. 무심코 지나가는 터널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재미있는 이야기가 가득한데요. 터널을 하나하나 파헤쳐보겠습니다.
우리나라에 터널은 총 몇 개일까요?
전국 도로 터널은 총 2,382개! 터널의 총 길이를 연장하면 1,811km로 서울에서 부산을 두 번 왕복할 수 있는 거리입니다. (출처: 국토교통부 2017년 말 기준 전국 도로현황)
터널은 왜 둥근 모양인가요?
터널은 대부분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인데요. 아치형의 벽은 흙이나 바위가 누르는 힘을 분산시켜 터널 벽을 더욱 강하게 지탱시켜 주기 때문입니다.
터널 조명이 주황색인 이유는요?
주황색 불빛은 먼지와 매연으로 가득한 공기 속에서도 빛이 멀리 퍼져나가고 눈에 자극이 적어 피로도를 낮춰주죠. 나방이나 파리 등 벌레를 적게 끌어들인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터널에서 왜 창문을 닫아야 하죠?
터널은 구조 특성상 환기가 잘 되지 않아 외부보다 배기가스와 미세먼지의 농도가 짙기 때문에 터널 안에서는 반드시 창문을 닫아 외부 공기를 차단해야 합니다.
THE K9에 장착된 ‘터널 연동 자동 제어’ 기능은 터널 진입 전 바쁘게 창문을 여닫는 수고를 덜어주는데요. GPS와 연계해 터널 진입 전 자동으로 창문을 닫아주고 내기 순환 모드로 바꿔주기 때문입니다.
대체 사이렌 소리는 왜 나는 거죠?
터널 안은 조명이 어두워 시야 확보가 어렵고 거리감이나 공간 감각 능력도 떨어져 일반도로 보다 사고 발생 확률이 높을 수 밖에 없습니다. 터널은 입구와 출구를 제외하고는 폐쇄된 공간이어서 교통 사고가 일어나면 자칫 큰 대형 사고로 번질 수 있죠. 터널 안에서는 특히 더 안전에 주의해야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터널은 어디일까요?
2017년 기준 국토교통부 집계 결과 가장 긴 도로 터널은 인제양양 터널입니다. 총 길이 약 11km, 시속 100km/h로 약 6분을 달려야 터널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인제양양 터널은 터널의 시작과 끝의 고도가 대략 200m 차이가 난다는 사실! 터널을 지날 때 귀가 먹먹해졌던 이유 바로 고도 차이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긴 터널은요?
노르웨이 라에르달과 아우르랜드를 이어주는 라에르달 터널인데요. 인제양양 터널의 두 배가 넘는 24.51km로 도로 터널 중에는 가장 긴 터널입니다.
우리나라에도 해저터널이 있나요?
통영 해저터널, 가덕 해저터널, 인천 북항터널 등 총 3개의 해저터널이 있는데요. 통영 해저터널은 일제강점기 때 만들어진 동양 최초의 해저터널이기도 합니다. 현재는 5.46km의 인천 북항터널이 가장 길지만 현대건설이 만들고 있는 보령-태안 해저터널이 완공되면 총 6.9km 길이로 국내에서는 가장 길고 세계에서는 다섯 번째로 긴 해저터널이 될 예정이죠.
서울 미래 유산으로 등재된 터널이 있다고요?
강북과 강남을 이어주는 남산 1호 터널은 서울의 경제발전을 상징할 뿐만 아니라 건축사적 측면에서 보존가치가 높아 2013년 서울 미래 유산으로 등재되었는데요. 건설된 1970년 기준으로 길이와 규모 면에서 국내 최대 터널이었을 뿐 아니라 현대건설에서 우리 자재와 기술력으로 만든 최초의 터널이기도 합니다.
터널의 흥미로운 이야기 덕분에 운전하면서 만나게 될 터널이 더 친숙하고 반가워질 것 같지 않나요? 그래도 가장 중요한 건 안전운전이라는 점 잊지 마세요!
현대자동차그룹
시대의 개척자로 새로운 길을 만들고 이끌어갑니다.
홈페이지바로가기